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ySQL
- ansible
- DB
- GIT
- ubuntu
- Linux
- 5.0
- elasticsearch
- EC2
- python
- tcp
- AWS
- zabbix
- ELK
- powershell
- GCP
- apt
- Automation
- sso
- kibana
- Selenium
- airflow
- 데이터 분석
- crawling
- module
- EKS
- 자동화
- API
- 8.0
- 시스템자동화
Archives
- Today
- Total
Oops - IT
Elasticsearch 시작하기 - 1(사전 준비 및 개념) 본문
반응형
** OS 환경: ubuntu 16.04
1. JAVA 설치
- Elasticsearch는 JVM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jdk를 설치해줍니다.
# sudo add-apt-repository -y ppa:webupd8team/java
# sudo apt-get update
# sudo apt-get install openjdk-8-jdk
2. Elasticsearch 설치
- Elasticsearch를 진행해줍니다.
: Dcou 참조하신 후 deb파일 다운 후 설치
: repo 등록 후 패키지 설치
- 저는 deb 파일 다운로드 후 진행하였습니다.
# wget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downloads/elasticsearch/elasticsearch-7.10.0-amd64.deb
# dpkg -i elasticsearch-7.10.0-amd64.deb
# rm -f elasticsearch*
- 위와 같은 구조로 설치가 되어집니다.
- install at: /usr/share/elasticsearch
- config file at: /etc/elasticsearch
- init script at: /etc/init.d/elasticsearch
3. 서비스 등록 및 실행
- 부팅 서비스 등록 및 실행
# systemctl enable elasticsearch.service
# service elastcisearch start
: 기본 Default 값으로 localhost의 9200 Port를 통해 실행되어집니다.
- 실행 확인
# curl -X GET 'localhost:9200'
- 정상 실행 완료 시 위와 같이 출력됩니다.
4. Elasticsearch 와 RDB 비교
- 구조
Elasticsearch | RDB |
index | database |
type | table |
document | row |
field | column |
mapping | schema |
- Query 문
Elasticsearch | RDB |
GET | SELECT |
PUT | UPDATE |
POST | INSERT |
DELETE | DELETE |
** 참고 사이트
인프런 ELK 스택으로 데이터 분석 강의 자료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반응형
'EL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K - 01 (CSV 파일 입력 및 데이터 시각화) (0) | 2020.12.10 |
---|---|
Elasticsearch + Kibana - 2 (Elasticsearch 데이터 입력 및 활용) (0) | 2020.12.10 |
Elasticsearch + Kibana - 1 (Kibana 설치 및 기본 설정) (0) | 2020.12.07 |
Elasticsearch 시작하기 - 3 (Aggregation) (0) | 2020.12.07 |
Elasticsearch 시작하기 - 2 (데이터 입력 및 조회) (0) | 2020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