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tcp
- module
- ansible
- 데이터 분석
- 크롤링
- GCP
- Automation
- Linux
- apt
- airflow
- MySQL
- ELK
- powershell
- GIT
- Selenium
- crawling
- 시스템자동화
- ubuntu
- elasticsearch
- EC2
- 자동화
- 8.0
- API
- 5.0
- DB
- zabbix
- AWS
- python
- EKS
- kibana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 집계 (1)
Oops - IT
Elasticsearch 시작하기 - 3 (Aggregation)
Aggregation은 사전적인 의미로 "집계"라는 말을 뜻하지만 Elasticsearch에서는 Elasticsearch안의 데이터 중에서 어떠한 특정한 값을 도출해 낼 때 사용한다. Aggregation은 사용 형태에 따라 Metric, Bucket Aggregation으로 나뉩니다. 1. Metric Aggregation - 산술적인 연산을 통한 특수한 값을 도출할 때 사용(ex. 최대값, 최소값) - 데이터 집계를 위한 Json 파일 생성 ex) stat 데이터 출력 # vim score_agg_test.json . . . { # 결과 값만 출력 "size" : 0, # aggregation 선언 "aggs" : { # 이름 "stats_score" : { # aggregation 연산 값 # st..
ELK
2020. 12. 7. 19:4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