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ython
- EKS
- zabbix
- MySQL
- 자동화
- kibana
- Linux
- airflow
- ELK
- GCP
- apt
- tcp
- module
- GIT
- EC2
- Automation
- 5.0
- DB
- AWS
- API
- 8.0
- sso
- crawling
- powershell
- ansible
- ubuntu
- Selenium
- 데이터 분석
- elasticsearch
- 시스템자동화
Archives
- Today
- Total
Oops - IT
AWS DX 연결 본문
반응형
사전 지식
- AWS와 Private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.
- 연동 방법
- Amazon Direct Connect (DX, 전용선 연결)
- Amazon Site-to-Site VP
- Amazon Client VPN
- 비교
사전 구성
- AWS DX - On-Premise 연결 구성을 위해 VPC 연결 생성
- VPC1, VPC2
- VPC 대역: 10.1.1.0/24, 10.1.2.0/24
- 라우팅 테이블
- Local - 10.1.1.0/24, 10.1.2.0/24
- Virtual Private Gateway - 0.0.0.0/0
- VPC3, VPC4
- VPC 대역: 10.1.3.0/24, 10.1.4.0/24
- 라우팅 테이블
- Local - 10.1.3.0/24, 10.1.4.0/24
- TGW - 0.0.0.0/0
- 구성도
- 위의 내용은 가상의 내용이며, 실제 Direct Connect 연결 신청 이후, Direct Connect를 지원하는 파트너 장비에 실제 네트워크 연결 이 후에 작업이 가능한 내용입니다.
구성
- Direct Connect 접속 -> Connetion 생성
- 안정성에 따른 Resiliency 옵션 선택 (테스트 연결로 Devlopment and Test 선택)
(Direct Connect를 지원하는 파트너 목록 / KINX, LGU+, Digital Realty) - 대역폭 고정
- 50Mbps
- 생성 완료 확인
- 안정성에 따른 Resiliency 옵션 선택 (테스트 연결로 Devlopment and Test 선택)
- DirectConnect Gateway(DXGW) 생성 (5~7분 정도 소요)
- DirectConnet -> Create Direct Connect gateway -> DirectConnect Gateway 생성
- DXGW에 Virtual Gateway 생성
- Private VIF 생성
- Type -> Private 선택
- On-Premise 라우터 설정
- 라우터 연동을 위한 VLAN 인터페이스 생성
- BGP 세팅
- 설정 예시 (Cisco Route)
conf t
## VLAN 인터페이스 생성
interface GigabitEthernet<인터페이스>.<VLAN_ID>
encapsulation dot1Q <VLAN_ID>
ip address <사용자_라우터_피어_IP> <사용자_라우터_피어_IP의 netmask>
## BGP 연결 생성
router bgp <사용자_라우터_BGP_ASN>
neighbor <Amazon_라우터_피어_IP> remote-as <Amazon_라우터_BGP_ASN>
neighbor <Amazon_라우터_피어_IP> password <BGP_인증키>
network <*온프렘_CIDR_대역> mask <*온프렘_CIDR_대역의 netmask>
end
- 통신확인
- VIF 상태 Avaliable 상태 확인
- On-Premise 서버에서 AWS VPC 내에 위치한 서버 통신 체크
- TGW도 동일하지만, Private VIF 생성 부분에서 Type을 TGW 선택
- Type -> TGW 선택
- 나머지 과정은 위와 동일하게 진행하면 됩니다.
반응형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IAM - AD Federation with Identity Provider (0) | 2025.02.22 |
---|---|
AMI with Packer (0) | 2025.01.20 |
GameLift 알아보기 (0) | 2025.01.16 |
Lambda 사용 해보기 (2) | 2025.01.15 |
EKS 생성하기 - LB를 통한 서비스 외부 노출 (0) | 2025.01.14 |